정보나누미 님의 블로그

세상에 많은 정보들을 나눕니다

  • 2025. 4. 25.

    by. 인포메이션데스크

    목차

      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봤을 ‘내 집 마련’ 혹은 ‘독립’.
      하지만 현실은 월세 부담에 허덕이기 일쑤죠.
      이런 청년들을 위해 정부가 준비한 반가운 소식!
      바로 2025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입니다.

      그렇다면 도대체 누가, 어떻게,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을까요?
      이 글 하나면 모든 궁금증 해결!


      1. 청년월세지원 사업이란?

      ‘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’은 무주택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추진하는 사업입니다. 2022년부터 시작되어 2025년까지 연장 운영되며, 최대 월 20만원씩 2년간 지원받을 수 있어요.

      항목 내용
      지원금액 월 최대 20만원
      지원기간 최대 24개월
      신청기간 2024.2.26 ~ 2025.2.25
      지급방법 청년 본인 계좌로 현금 지급
      신청방식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

      2. 지원 대상 및 제외 조건

      ✅ 지원 대상

      • 만 19세 ~ 34세 이하 청년
      • 부모님과 별도 거주 중인 무주택자
      •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인 청년가구
      • 청년 본인의 임대차계약 (혹은 예외적으로 가족 명의 계약 + 전입신고 필수)

      ❌ 제외 대상

      • 주택 소유자 (분양권·입주권 포함)
      • 2촌 이내 가족 소유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
      • 공공임대주택 거주자
      • 전세 거주자
      • 국토부·지자체 청년월세 수혜 중인 경우

      3. 지원금액과 지급 기간

      실제 납부한 월세 기준 최대 월 20만원까지 지원됩니다.
      관리비와 임차보증금은 제외예요.

      예: 월세 15만원 → 15만원 지원 / 30만원 → 20만원 지원

      최대 24개월 지원, 과거 수혜 횟수 차감됨


      4. 소득 및 재산 기준

      구분 중위소득 기준 재산 기준
      청년가구 60% 이하 1억 2,200만원 이하
      원가구 100% 이하 4억 7,000만원 이하
      💡 내 소득, 지원 기준에 맞을까?
      👉 복지로 모의계산 바로가기

      5. 신청 방법

      💻 온라인

      1. 복지로 접속
      2. 청년월세 신청 클릭
      3. 신청서 작성, 서류 첨부
      4. 제출 후 완료
      📌 청년월세 신청, 여기서 바로 가능해요!
      👉 복지로 청년월세 신청 바로가기

      🏢 오프라인

      주소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→ 신청서 및 서류 제출


      6. 제출서류 및 주의사항

      • 신청서, 서약서, 소득·재산 신고서
      • 임대차계약서 (확정일자 필수)
      • 월세 이체 내역 (최근 3개월)
      • 가족관계증명서

      전입신고와 별도 거주 사실 증명도 중요!


      7. 자주 묻는 질문

      • 전세도 지원되나요? 아니요. 전세는 대상이 아닙니다.
      • 부모님과 세대분리만 하면 되나요? 실제 별도 거주해야 합니다.
      • 월세가 20만원 미만이면? 실제 금액만큼 지원됩니다.
      • 주거급여랑 중복되나요? 일부 가능하지만 차감됩니다.

       

      8. 관련 링크 모음

      필요한 분들에게 꼭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, 주거 고민 중인 청년이라면 이 기회를 꼭 잡으세요 😊